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42)
-
경제금융용어 공부 030 :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경영실태평가/은행경영실태등급평가제도 경영실태평가란 금융기관의 전반적인 경영 상태를 점검하고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잘 운영되고 있는지, 문제가 있는 부분은 없는지를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금융기관의 책임 있는 경영 체제를 확립하고 감독과 검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간단히 말하면, 병원이 건강검진을 통해 우리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처럼, 경영실태평가는 금융기관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는 제도입니다.주요 용어와 평가 방식경영실태평가에는 다양한 평가 방식이 있습니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은 CAMEL-R, ROCA, CACREL 시스템입니다. 각각의 방식은 평가 대상에 따라 달라지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CAMEL-R ..
2025.01.30 -
경제금융용어 공부 029 : 경상수지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국가가 외국과 사고파는 재화(상품)나 서비스, 그리고 이를 통해 얻는 소득이나 이전받는 돈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거래하며 벌어들인 돈과 쓴 돈의 균형을 보는 거죠. 이는 경제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경상수지는 다음 네 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상품수지: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물건(상품)을 팔아 번 돈과 다른 나라에서 물건을 사며 쓴 돈의 차이.서비스수지: 관광, 운송, 보험 같은 서비스를 주고받으며 발생한 돈의 차이.본원소득수지: 해외 투자에서 얻는 이자, 배당금 같은 소득의 흐름.이전소득수지: 외국에서 받거나 준 돈, 예를 들어 해외 원조나 송금.예를 들어 쉽게 이해해볼까요?상품수지:우리나라가 자동차를 외국에 수..
2025.01.29 -
경제금융용어 공부 028 : 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x)
경기종합지수(CI; Composite Index)경기종합지수는 다양한 경제활동의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만들어진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현재 경제 상태를 평가하고, 가까운 미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거나 과거 경기 변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시를 통한 이해개별 경제지표의 한계산업생산지수는 공장에서 생산된 상품의 양만 보여줍니다. 하지만 소매판매액지수는 소비자들이 물건을 얼마나 구매했는지를 나타냅니다.이 두 지표만으로는 나라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예를 들어, 생산이 늘었지만 소비가 줄었다면 경제가 좋아진 것인지 나빠진 것인지 알기 어렵습니다.경기종합지수의 필요성다양한 지표들을 하나로 합쳐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경제의 상태"를 나타..
2025.01.28 -
경제금융용어 공부 027 :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 1. 경기조절정책/경제안정화정책이란?경기조절정책(또는 경제안정화정책)은 경제가 지나치게 과열되거나 불황에 빠질 때 이를 조절하기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취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경제가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게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려는 노력입니다. 이를 통해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2. 예를 들어 이해하기경제가 불황일 때:불황은 사람들이 돈을 잘 쓰지 않고, 기업도 투자를 줄이는 시기입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로 인해 가게들이 문을 닫고 사람들이 소비를 줄였던 상황을 떠올려보세요.이럴 때 정부는 재정정책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국가가 국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을 주거나, 대형 공사를 시작해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또한, 중앙은..
2025.01.27 -
경제금융용어 공부 026 : 경기순응성 (Procyclicality)
경기순응성 (Procyclicality) 경기순응성이란 경제 주체(예: 개인, 기업, 은행 등)의 행동이나 금융제도, 규제가 경제의 경기변동(호경기나 불경기)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경기가 좋을 때는 더 좋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경기가 나쁠 때는 더 나쁘게 만드는 경향을 나타냅니다.예시로 알아보기은행대출의 경우:호경기(경기가 좋을 때): 사람들이 미래를 낙관적으로 보고, 은행도 대출 기준을 완화합니다. 기업과 개인이 대출을 많이 받게 되고, 이를 통해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면서 경기가 더욱 활성화됩니다.불경기(경기가 나쁠 때): 사람들이 미래를 비관적으로 보고, 은행도 대출 기준을 강화합니다. 그러면 대출받기가 어려워지고,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면서 경기가 더 악화됩..
2025.01.26 -
경제금융용어 공부 025 :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경기확산지수) 경기동향지수, 흔히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라고도 불리는 이 지수는 경제가 현재 어떤 국면에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이 지수는 경제의 변동 방향만을 파악하며, 경기의 진폭이나 속도를 측정하지는 않습니다. 쉽게 말해,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보는 데 집중하는 지표입니다.1. 쉽게 이해하는 경기동향지수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경제를 10개의 대표적인 부문(예: 제조업, 서비스업, 수출입, 소비 등)으로 나눈다고 가정해봅시다.한 달 동안 이 10개의 부문 중 7개가 성장(전월 대비 증가)했다면, 경기동향지수는 70%로 계산됩니다.반대로, 10개 중 3개만 성장했다면, 지수는 30%가 됩니다.이 지수는 기준선이 50%입니다..
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