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86)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7 : 상장지수펀드(ETF(Exchange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ETF(ExchangeTraded Fund)) 상장지수펀드(ETF; Exchange Traded Fund)란 주식, 채권, 통화, 원자재 등 다양한 자산의 가격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해 일반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도록 만든 금융상품을 말한다. 등장 배경1993년 1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최초의 ETF가 거래되기 시작국내에서는 2002년 10월, KOSPI200을 추종하는 KODEX 200과 KOSEF 200 ETF가 첫 상장구조와 발행 방식기관투자자가 지정참가회사(증권사)를 통해 설정에 필요한 주식 바스켓을 자산운용사에 납입이를 통해 발행된 ETF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개인도 일반 주식처럼 거래 가능유통시장에서는 지정참가회사 중 일부가 유동성 공급..
2025.10.14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6 : 상시감시제도/상시감시전담데스크
상시감시제도/상시감시전담데스크 상시감시제도는 감독당국이 은행을 평소에도 꾸준히 들여다보는 제도라고 이해하면 쉽다. 단순히 문제가 생겼을 때만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의 영업실적이나 재무상태에 관한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받아 분석함으로써 문제가 될 만한 징후를 미리 발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은행이 대출을 지나치게 늘리고 있다면, 단기적으로는 실적이 좋아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상시감시제도는 이런 위험 신호를 초기에 발견해 감독당국이 미리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치 의사가 정기검진을 통해 환자의 건강 이상을 조기에 찾아내는 것과 비슷하다. 이 제도는 특히 은행 수가 많고 도산이 잦았던 미국에서 먼저 발전했다. 지금은 금융이 국제적으로 연결되고, 다양한 리스크가..
2025.10.13 -
[Spring] 빈 후처리기
빈 후처리기 정리이 글은 인프런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강의를 수강하고 정리한 내용이다. 1. 빈 후처리기(BeanPostProcessor)란?스프링은 @Bean, 컴포넌트 스캔 등을 통해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기 전에 빈 후처리기를 통해 해당 객체를 가로채서 가공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빈 후처리기를 사용하면, 빈 생성 후 초기화 전/후의 시점에서 개입하여 프록시로 바꿔치기하는 등 고급 기능 구현이 가능하다.빈 후처리기는 빈을 조작하고 변경할 수 있는 후킹 포인트이다. 심지어 빈 객체를 다른 객체로 교체할 수도 있는 막강한 기능이다.2. 빈 등록 과정과 후처리기 작동 흐름스프링이 스프링 빈 대상 객체를 생성한다.생성된 객체를 빈 저장소에 등록하기 직전에 빈 후처리..
2025.10.13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5 : 상대적 빈곤율
상대적 빈곤율상대적 빈곤율이란 세금과 이전소득을 모두 반영한 처분가능소득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계층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여기서 중위소득이란 소득을 많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의미한다. 즉, 국민의 빈곤 정도를 파악하는 기준으로 소득 분포의 중간선을 활용하는 개념이다. 상대적 빈곤율의 활용빈곤의 정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하는 지표로 자주 사용된다.특정 연령대나 집단에서 빈곤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정부의 사회보장정책, 복지정책 수립의 근거가 된다.국제 비교 사례2014년 기준 우리나라의 상대적 빈곤율은 14.4%였다.같은 시기 노르웨이(8.1%), 프랑스(8.2%), 독일(9.5%), 스위스(9.9%)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일본(16...
2025.10.12 -
[주간회GO 25년 10월 2주차] 가끔은 대충 써도 되잖아
25년 10월 2주차연휴 시작했다~연휴 끝났다~25년 10월 6일 월요일추석당일이라 일찍 오운완 차례 지내고 무인카페가서 커피 심부름 하고 삼촌이랑 하율이 인형뽑기하고 들어감외가로 이동해서 다같이 영화보고 집에 돌아와서 밥먹고 떠들고 고스톱 구경하고 그랬다. 명절 그 자체!25년 10월 7일 화요일ㅇㅇㅇ용돈 입금하고 ㅎㅎ다같이 장보고 집와서 쉬었다또 뭐 했는데 까먹었다25년 10월 8일 수요일이시아가서 쇼핑하고 외식동생 생일이 10월이라 지갑하나 사줬다. 에이블리에서 막 만원짜리 7천원짜리 지갑보고 있길래 하나 사줬다 안질리려나 자기가 골랐으니 잘쓰겠지~(돈 열심히 벌어서 주변 사람들한테 베풀고 싶다)25년 10월 9일 목요일ㅇㅇㅇ요즘 응사 보는데 너무 재밌다. 무려 2013년 작품인데 이제 처음 봄 ㅎ..
2025.10.12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4 :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ies)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ies) 상계관세(countervailing duties)란 수출국 정부가 자국 수출기업에게 보조금이나 장려금을 지급해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출 경우, 수입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부과하는 추가 관세를 말한다. 이는 수출국 정부의 인위적인 지원으로 경쟁력이 왜곡되는 것을 막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다. 상계관세의 등장 배경수출국 정부가 특정 산업을 보호하거나 해외 점유율 확대를 위해 수출 보조금을 지급보조금 혜택을 받은 기업이 낮은 가격으로 제품을 수출하여 시장 점유율 확대이로 인해 수입국 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 발생공정한 경쟁을 회복하기 위해 수입국이 보조금 효과를 상쇄할 만큼의 추가 관세를 부과관련 법적 근거우리나라에서는 「관세법..
2025.10.11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3 : 삼불원칙(impossible trinity, trilemma)
삼불원칙(impossible trinity, trilemma) 삼불원칙(impossible trinity, trilemma)삼불원칙이란 국제금융에서 널리 알려진 개념으로, 한 나라가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운 세 가지 목표를 말한다.이 세 가지는 ① 통화정책의 자율성 ② 자본 자유화(국제자본의 자유로운 이동) ③ 환율의 안정이다. 배경국제금융 환경에서 각국은 환율 제도를 선택해야 한다. 고정환율제도와 자유변동환율제도가 대표적인데, 두 제도는 각각 장단점을 가진다.고정환율제도: 환율 변동에 따른 충격을 줄이고 정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본 이동을 제한해야 하고, 국제유동성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자유변동환율제도: 자본 이동이 자유롭고, 외부 충격을 환율이 스스로 흡수해 거시경제 ..
2025.10.10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2 : 산업연관표(I/O Tables)
산업연관표(I/O Tables) 산업연관표(I/O Tables)란 일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한 나라의 경제에서 발생한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 처분 과정을 종합적으로 기록한 통계표를 말한다. 세로 방향은 각 산업이 생산에 사용한 중간재, 노동, 자본 등의 투입 구조를, 가로 방향은 각 산업이 생산한 산출물이 어떻게 분배되는지 보여주는 배분 구조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산업 간 얽혀 있는 상호 연관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등장 배경1930년대 초 레온티에프(W. Leontief) 교수가 처음 작성·발표이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활용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한국은행이 처음 작성, 현재는 매년 공표특징투입 구조와 배분 구조를 동시에 보여줌산업 간 복잡한 연관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경제구조를 파악..
2025.10.09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1 : 사회보험(social insurance)
사회보험(social insurance) 사회보험(Social Insurance)이란 국민이 직면할 수 있는 각종 사회적 위험에 보험 방식을 적용해 생활, 건강, 소득 등을 보장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는 사회보장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자, 특히 노동자와 그 가족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다. 구성 제도산업재해보험: 업무상 재해 발생 시 신속한 보상과 복귀 지원 제공건강보험: 질병, 상해, 사망 등의 사고에 대비해 의료서비스 제공국민연금: 퇴직, 노령, 사망 시 당사자와 유족의 생활 안정 보장고용보험: 실직자의 생활 안정 및 재취업 지원특징가입은 개인의 자유의사에만 맡기지 않고, 법적으로 의무화되는 경우가 많음보험료는 국가, 기업, 개인이 분담개인별 위험 정도가 아닌 소득 수준에 따라 보험..
2025.10.08 -
경제금융용어 공부 280 :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제도란 사회 불평등을 완화하고 국민이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국가가 보장하는 제도다. 개인이 불행을 겪더라도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는 장치로, 대표적으로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가 있다. 구성 요소사회보험산업재해, 실업, 질병 등으로 소득이 상실될 때를 대비한 보험대표 제도: 산업재해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보험료는 개인·고용주·국가가 분담하며, 소득이 높을수록 부담액도 커짐공공부조생활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국가가 비용 전부를 부담하여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대표 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사회복지서비스취약 계층이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비경제적 지원 제도주요 대상: 아동, 노인, 장애인 등의의사회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국민의 기본적..
2025.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