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42)
-
경제금융용어 공부 012 : 직접금융과 간접금융
직접금융과 간접금융 이해하기 경제에서는 돈이 남는 사람(자금 잉여주체)과 돈이 필요한 사람(자금 부족주체)이 존재합니다. 이들이 돈을 주고받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간접금융과 직접금융.간접금융이란?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은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금융기관이 중간에 개입하여 돈을 빌려주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은행에 예금을 합니다. 은행은 이 돈을 모아 B라는 기업에게 대출을 해줍니다.은행이 돈을 중개하기 때문에 '간접' 금융이라고 합니다.주요 금융기관: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특징: 은행이 돈의 흐름을 관리하고, 대출자의 신용을 심사합니다.직접금융이란?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은 자금이 필요한 사람이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금융..
2025.01.12 -
경제금융용어 공부 011 : 가상통화공개(ICO)
가상통화공개(ICO) 쉽게 이해하기가상통화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는 스타트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중 하나로, 암호화폐나 디지털 토큰을 판매하여 자금을 모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예를 들어 설명해보기상상해보세요. 친구들이랑 새로운 온라인 게임을 만들었어요. 그런데 게임을 개발하려면 서버를 사거나, 프로그래머를 고용하는 등 돈이 필요합니다. 이때, ICO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죠.게임 전용 코인 발행: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임코인(GameCoin)을 만듭니다.코인 판매: 게임 개발을 위해 게임코인을 미리 판매합니다. 사람들이 코인을 사면, 이 코인을 나중에 게임 아이템이나 서비스에 사용할 수 있다고 약속합니다.자금 확..
2025.01.11 -
경제금융용어 공부 010 : 가상통화
가상통화란? 쉽게 이해하기 가상통화(virtu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하고 유통하는 '전자적 가치의 표시'입니다. 비트코인이 그 대표적인 예시입니다.가상통화 쉽게 설명하기가상통화를 '디지털 마을 화폐'로 생각해보세요. 마을 사람들이 서로 거래를 위해 사용하는 디지털 화폐가 있는데, 이 화폐는 정부나 은행이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관리합니다.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마을 전체 사람들이 거래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바로 이 마을 화폐가 가상통화이고, 거래를 기록하는 방식이 블록체인입니다.가상통화와 기존 사이버머니의 차이과거에는 게임머니나 마트 포인트 같은 것도 가상통화라고 불렸지만, 비트코인이 등장하면서 개념..
2025.01.10 -
경제금융용어 공부 009 : 가산금리(Spread)
가산금리(Spread) 쉽게 이해하기 금융 용어 중 '가산금리'는 우리가 대출을 받을 때, 혹은 채권을 투자할 때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가산금리란?가산금리(Spread)는 기준금리에 추가로 덧붙여지는 금리를 의미합니다.기준금리: 금융시장에서 기준이 되는 금리 (예: 한국은행 기준금리, 미국 국채 금리 등)가산금리: 대출자의 신용도, 만기, 금융기관의 리스크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에 추가되는 금리쉽게 예를 들어볼게요:기준금리가 3%인 상황에서, A씨가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은행이 A씨의 신용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추가로 1%의 가산금리를 더했다면, A씨가 실제로 적용받는 대출금리는 **3% + 1% = 4%**가 됩니다.반면 신용도가 낮은 B씨에게는 은..
2025.01.09 -
경제금융용어 공부 008 : 가변예치의무제도
가변예치의무제도 쉽게 이해하기국경을 넘나드는 자본의 이동은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의 자본이 국내로 들어오면 기업들이 필요한 자금을 더 쉽게 조달할 수 있고, 투자가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자본이 단기간에 대규모로 들어오거나 빠져나가면 환율이나 주가가 크게 요동칠 수 있어요. 이렇게 경제에 불안정성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필요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가변예치의무제도입니다.쉽게 이해하는 가변예치의무제도예시: 마치 대형 쇼핑몰에서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오는 상황을 생각해보세요. 갑자기 사람들이 많이 몰리면 혼잡해지고 사고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쇼핑몰에서는 입장 인원을 제한하거나, 한 번에 들어오는 인원을 조절하는 게 ..
2025.01.08 -
경제금융용어 공부 007 : 가동률
가동률 쉽게 이해하기가동률은 생산능력 대비 실제 생산량을 백분율(%)로 나타내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를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가동률 = (생산실적 ÷ 생산능력) × 100이 개념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어볼게요.예시:만약 어떤 공장에서 한 달에 최대 1,000개의 휴대폰을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런데 실제로 한 달 동안 800개의 휴대폰을 생산했다면, 가동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가동률 = (800 ÷ 1,000) × 100 = 80%즉, 이 공장은 현재 최대 생산능력의 80%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가동률이 사용되는 상황경제지표로 활용: 정부나 경제 연구소에서 경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가동률이 높다면 경기가 좋아지고 있거나 기업들이 생산을 ..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