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37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2025. 5. 17.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 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이다. 이는 기업가들의 현재 경기 판단과 향후 전망을 종합해 단기적인 경기 흐름을 진단하는 데 활용된다.

기업이 느끼는 경기는 실제 생산, 투자, 고용 등의 활동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BSI는 전반적인 경제심리지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SI는 한국은행이 OECD 기준에 따라 긍정·보통·부정의 3점 척도를 활용해 조사하고,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산출한다.

BSI = [(긍정 응답 업체 수 – 부정 응답 업체 수) / 전체 응답 업체 수] × 100 + 100

BSI 값은 0에서 200 사이이며, 100을 기준선으로 본다. 100을 초과하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의미이고, 100 미만이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더 많다는 뜻이다.

어디에 자주 쓰이는 용어인가?

  • 한국은행 경기보고서: “최근 BSI 하락…경기 둔화 우려”
  • 경제 기사 헤드라인: “제조업 BSI 3개월 연속 상승”
  • 투자분석 보고서: “기업심리지수 개선, 투자 심리 회복 기대”
  • 경제지표 캘린더: “매월 발표되는 주요 경기심리지표 중 하나”

쉽게 이해하는 예시

예를 들어, 한 달간 한국은행이 1,000개 기업을 조사했는데, 그중 400곳이 “경기 좋아짐”, 300곳이 “보통”, 300곳이 “경기 나빠짐”이라고 응답했다고 하자.

BSI 계산은 다음과 같다:

  • [(400 – 300) / 1000] × 100 + 100 = (100 ÷ 1000) × 100 + 100 = 10 + 100 = 110

이 경우 BSI는 110으로, 경기를 좋게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부정 응답이 많으면 BSI는 100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관련 용어 정리

경제심리지수 기업이나 소비자가 느끼는 경기 상황을 조사해 수치화한 지표 전체를 의미
소비자동향지수(CSI) 소비자의 심리를 조사해 경기에 대한 인식을 나타내는 지표
긍정 응답 경기 호전, 매출 증가, 생산 증가 등 좋은 상황을 예상하거나 경험했다는 응답
부정 응답 경기 악화, 매출 감소, 투자 축소 등 나쁜 상황을 예상하거나 경험했다는 응답
3점 척도 긍정·보통·부정의 세 가지로 응답을 수집하는 방식
OECD 기준 국제기구 OECD가 정한 경기 조사 기준으로, 국제 비교가 가능하도록 통일된 방식 적용

정리

  •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 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지표이다.
  • BSI가 100 이상이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고, 100 이하이면 그 반대이다.
  • 경제심리지표로서 소비자동향지수(CSI)와 함께 사용되며, 경기 흐름을 진단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 한국은행이 매월 조사해 발표하며, 경제 정책 수립과 금융시장 분석 등에 널리 활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