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35 : 기업·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
2025. 5. 15.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기업·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
기업·개인간(B2C) 지급결제시스템은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기업(판매자)과 개인(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소액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는 기업 간 거래(B2B) 지급결제시스템처럼 특정 시스템 하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다양한 결제 방식 전체를 포함한다.
B2C 결제는 대부분 전자지급결제대행서비스(PG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PG사는 소비자로부터 결제대금을 수취하고, 이를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중개 역할을 한다. 결제 정보를 중계하고, 대가 정산을 대신 처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어디에 자주 쓰이는 용어인가?
- 전자상거래 플랫폼 정책 문서: “PG사 변경 안내”, “결제 수단 확대” 등
- 스타트업·쇼핑몰 창업 가이드: “PG 계약은 어떻게 하나요?”
- 금융규제 기사: “전자지급결제대행업 관련 규제 강화 논의”
- IT/핀테크 뉴스: “신용카드 PG와 계좌이체 PG 시장 점유율 변화”
쉽게 이해하는 예시
예를 들어, 한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3만 원짜리 티셔츠를 결제한다고 하자. 결제수단으로 신용카드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흐름이 된다.
- 소비자는 카드 정보를 입력해 결제를 시도한다.
- PG사는 이 정보를 카드사로 보내 승인을 받는다.
-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PG사는 소비자의 돈을 받아 일정 시점 후 판매자에게 정산해준다.
이런 역할을 하는 PG사는 대표적으로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 나이스페이 등이 있으며,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휴대폰 결제 등 다양한 방식을 지원한다.
특징적으로 B2C 결제시스템은 온라인 기반이기 때문에 연중무휴 24시간 작동하며, 전자상거래 활성화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관련 용어 정리
PG(Payment Gateway) |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결제를 중계하고 대금 정산을 대행하는 서비스 |
신용카드 PG |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PG 방식 |
계좌이체 PG | 소비자 계좌에서 직접 송금하는 방식의 결제 시스템 |
통신과금서비스 | 휴대전화 요금에 결제 금액을 합산해 청구하는 결제 방식 |
소액결제시스템 | 일상적으로 이용되는 10만 원 이하의 소규모 전자결제 시스템 |
기업간(B2B) 지급결제시스템 | 기업들 간 대량 거래에 사용되는 결제 시스템 |
정리
- B2C 지급결제시스템은 소비자와 기업 간의 전자상거래에서 소액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 전자지급결제대행(PG) 서비스는 이 시스템의 중심이며, 다양한 결제수단을 중계하고 대금 정산을 대행한다.
- 신용카드, 계좌이체, 통신과금 등 다양한 PG 방식이 존재하며, 24시간 작동하는 전자상거래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 전자상거래, 스타트업 운영, 핀테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된다.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137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0) | 2025.05.17 |
---|---|
경제금융용어 공부 136 : 기업간(B2B) 지급결제시스템 (0) | 2025.05.16 |
경제금융용어 공부 134 : 기본자본(Tier 1) (0) | 2025.05.14 |
경제금융용어 공부 133 : 기대인플레이션 (1) | 2025.05.13 |
경제금융용어 공부 132 : 금전신탁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