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48 : 고정이하여신비율
2025. 2. 17.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고정이하여신비율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는 것을 ‘여신’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대출이 정상적으로 상환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은행은 자산의 ‘건전성(안전한지 위험한지)’을 평가하여 5단계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산건전성 5단계 분류
- 정상: 대출금을 문제없이 상환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 요주의: 약간의 연체가 있거나 금융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 고정: 대출금의 연체 기간이 길어져 상환 가능성이 낮아진 상태입니다.
- 회수의문: 대출금 회수 가능성이 거의 없지만, 아주 희박한 가능성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 추정손실: 사실상 대출금 회수가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이 중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된 여신을 ‘고정이하여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금액이 전체 대출금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고정이하여신비율이라고 합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은행이 100억 원을 대출해 주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이 중 90억 원은 정상적으로 상환되고 있습니다 (정상 및 요주의).
- 하지만 5억 원은 연체가 길어져 고정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3억 원은 회수 가능성이 낮아 회수의문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2억 원은 회수가 불가능해 보여 추정손실로 분류되었습니다.
즉, 고정(5억) + 회수의문(3억) + 추정손실(2억) = 10억 원이 ‘고정이하여신’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그러면 고정이하여신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 (10억 / 100억) × 100 = 10%
이 비율이 높으면 은행이 대출을 많이 해주었지만 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금융감독원이나 투자자들은 이 비율을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일반적으로 이 비율이 높으면 은행의 건전성이 악화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 용어들은 어디에 자주 쓰일까요?
- 은행 및 금융기관의 건전성 평가
- 은행이 얼마나 건전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할 때 사용됩니다.
- 금융감독원이 각 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을 모니터링하여 부실 위험을 관리합니다.
- 투자자가 은행의 주식을 살 때
- 은행이 대출을 너무 위험하게 많이 해주었을 경우,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투자자는 은행의 재무제표를 볼 때 이 비율을 참고합니다.
- 대출 심사 및 관리
- 은행이 신규 대출을 해줄 때 이 비율을 고려합니다.
- 만약 특정 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너무 높다면, 대출 심사가 더욱 까다로워질 수 있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 정리
용어 : 의미여신 | 은행이 돈을 빌려주는 것 (대출 포함) |
자산건전성 | 은행이 대출한 돈을 얼마나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기준 |
고정이하여신 | 은행이 대출해준 돈 중 회수 가능성이 낮은 금액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포함) |
고정이하여신비율 | 고정이하여신이 전체 대출금에서 차지하는 비율 |
회수 가능성 | 빌려준 돈을 다시 돌려받을 수 있는 가능성 |
금융감독원 | 금융기관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정부 기관 |
마무리하며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이 대출을 얼마나 건전하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으면 위험 신호로 볼 수 있으며, 낮으면 안정적인 상태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050 : 고정환율제도(fixed exchange rate system)와 자유변동환율제도(fre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0) | 2025.02.19 |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9 : 고정자본소모 (3) | 2025.02.18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7 : 고정분류여신 (1) | 2025.02.16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6 :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 (0) | 2025.02.15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5 : 고정금리 (2)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