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2.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고용보조지표
1. 고용보조지표란?
우리는 흔히 실업률을 보고 "일자리가 얼마나 부족한가?"를 판단하지만, 실업률만으로는 노동시장의 실제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2013년 10월, 노동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지 않는 상황을 더 정확히 반영하는 고용보조지표를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4년 11월부터 통계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2. 고용보조지표를 쉽게 이해하기
일반적으로 실업자는 "일할 의사가 있고, 구직활동을 했지만 취업하지 못한 사람"을 뜻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 단기근로자: 아르바이트나 단시간 근로를 하고 있지만, 정규직 취업을 원함.
- 잠재구직자: 취업 의사는 있지만 최근에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
- 잠재취업가능자: 구직활동을 했지만 육아, 건강 등의 이유로 바로 취업할 수 없는 사람.
이처럼 공식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는 취업 희망자까지 고려해야 진짜 실업률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반영한 것이 고용보조지표입니다.
3. 고용보조지표의 종류
고용보조지표는 포괄 범위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나뉩니다.
📌 고용보조지표1
- 공식 실업률 + 단시간 근로자(추가 취업을 원하는 사람)
- 예시: 주 15시간만 근무하면서 정규직을 찾고 있는 대학생 아르바이트생도 포함됨.
📌 고용보조지표2
- 공식 실업률 + 잠재구직자 포함 (최근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취업 희망하는 사람)
- 예시: 졸업 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며 바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친구.
📌 고용보조지표3
- 공식 실업률 + 단기근로자 + 잠재구직자 + 잠재취업가능자 포함 (가장 넓은 범위)
- 예시: 육아로 인해 당장 취업할 수는 없지만, 취업할 의사가 있는 사람까지 포함.
4. 왜 중요한가?
공식 실업률만 보면 실업자 비율이 낮아 보일 수 있지만, 고용보조지표를 보면 실제 노동시장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년층의 실업률은 5%일 수 있지만, 고용보조지표3을 적용하면 15%까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 경향 고용보조지표가 공식 실업률보다 높은 이유는?
- 단시간 근로자가 많음 (정규직이 아닌 아르바이트, 계약직 증가)
-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들이 많음 (경제적 여건, 시험 준비 등)
5. 이 용어들이 쓰이는 곳
- 정부 정책 분석: 일자리 창출 효과를 평가할 때 사용됨.
- 경제 연구: 노동시장의 실태를 분석할 때 필수.
- 뉴스 & 보고서: 실업률과 함께 발표되어 경제 상황을 진단하는 데 활용됨.
6. 용어 정리
- 실업률: 일할 의사가 있고 구직활동을 했지만 취업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
- 단기근로자(시간관련 추가취업 가능자): 아르바이트 등 단시간 근로를 하고 있지만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싶은 사람.
- 잠재구직자: 취업 의사는 있지만 최근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사람.
- 잠재취업가능자: 구직활동을 했지만 바로 취업할 수 없는 사람.
- 비경제활동인구: 일할 능력은 있지만,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 사람들.
- 확장경제활동인구: 기존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실업자)에 잠재구직자와 잠재취업가능자를 포함한 개념.
7. 마무리: 우리가 알아야 하는 이유
고용보조지표는 단순한 실업률보다 노동시장의 현실을 더 잘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대학생, 취준생, 그리고 직장인 모두가 노동시장의 변화를 이해하고, 경제 흐름을 판단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앞으로 뉴스에서 실업률만 보지 말고, 고용보조지표도 함께 살펴보며 더 정확한 경제 상황을 파악해야겠습니다!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045 : 고정금리 (0) | 2025.02.14 |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4 : 고용유발효과와 취업유발효과 (0) | 2025.02.13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2 : 고용율 (0) | 2025.02.11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1 : 고객확인절차(KYC) (0) | 2025.02.10 |
경제금융용어 공부 040 : 계좌대체 (0)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