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42 : 고용율

2025. 2. 11.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고용율

 

1. 고용률이란 무엇인가?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 인구) 중에서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나라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사람들 중에서 실제로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반면 실업률은 "일을 하고 싶지만 하지 못하는 사람들(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실업률에는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은 실업자로 집계되지 않아서, 실제보다 실업률이 낮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고용률이 실업률보다 경제 상황을 더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2.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나라에 15세 이상 인구가 100명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이 중 60명이 취업을 해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 그러면 이 나라의 고용률은 (60 / 100) × 100 = 60%가 됩니다.

만약 경제가 나빠져서 일자리가 줄어들고, 10명이 일을 그만둬서 취업자가 50명이 되면,

  • 새로운 고용률은 (50 / 100) × 100 = 50%가 됩니다. 즉, 고용률이 낮아졌다는 것은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실업률을 계산하려면 경제활동인구를 따져야 합니다.

  •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만약 경제활동인구가 70명이고 그중 실업자가 10명이라면,
    • 실업률 = (10 / 70) × 100 = 14.3%

그런데, 만약 구직을 포기한 사람이 많아지면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어서 실업률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실업률이 낮아졌다고 해도 꼭 좋은 경제 상황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3. 고용률은 어디에서 많이 사용되는가?

고용률은 경제 상황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정부,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에 많이 언급됩니다.

  1. 정부의 경제정책 발표: 일자리 창출 정책의 성과를 평가할 때.
  2. 국제 비교: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경제 상태를 분석할 때.
  3. 기업 경영 전략 수립: 소비자의 경제적 여건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4. 취업시장 동향 분석: 취업률이 높은 직종과 산업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 정리

  • 노동가능인구: 15세 이상 모든 사람을 의미합니다. (일을 할 수 있는 연령대의 인구)
  • 경제활동인구: 노동가능인구 중에서 일을 하거나(취업자) 구직 중인 사람(실업자)
  • 비경제활동인구: 학생, 전업주부, 구직을 포기한 사람 등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
  • 취업자: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사람
  • 실업자: 일할 의사가 있지만 구직 중이고 아직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
  •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 고용보조지표: 단시간 근로자, 일시휴직자 등을 포함해 고용상황을 더 자세히 파악하는 지표

5. 정리 및 마무리

고용률은 단순히 "일하는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실업률만으로는 경제 상황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용률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