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36 :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2025. 2. 5.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경제학이나 사회학 수업에서 종종 등장하는 "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은 노동시장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입니다.
용어 설명 및 예시
1. 노동가능인구
- 정의: 만 15세 이상으로 군인과 재소자를 제외한 인구를 뜻합니다. 즉, 경제활동 여부와 상관없이 일을 할 수 있는 나이의 사람들을 모두 포함합니다.
- 예시: 한국에서 만 15세 이상이라면 학생, 직장인, 가정주부, 은퇴자 모두 노동가능인구에 포함됩니다.
2. 경제활동인구
- 정의: 노동가능인구 중에서 일할 능력과 의사를 동시에 가진 사람입니다. 취업자와 실업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 예시: 졸업 후 취업 준비를 하고 있는 대학생은 실업자에 포함되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반면, 전업으로 공부만 하는 학생은 비경제활동인구입니다.
3. 비경제활동인구
- 정의: 노동가능인구 중에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 사람들입니다.
- 예시: 시험 준비를 위해 학업에 전념하는 고시생, 전업 가정주부, 은퇴한 노인 등이 포함됩니다.
4. 취업자
- 정의: 조사가 이루어지는 주 동안 1시간 이상 유급 노동을 했거나, 가족 소유의 사업체에서 주당 18시간 이상 무급으로 일한 사람입니다. 일시적으로 일을 쉬고 있는 사람도 포함됩니다.
- 예시: 주 5일 하루 2시간씩 알바를 하는 대학생, 가족 농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이에 해당됩니다.
5. 실업자
- 정의: 조사 기간 중 일자리를 구하려고 노력했지만, 단 1시간도 일을 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단, 즉시 취업이 가능한 상태여야 합니다.
- 예시: 졸업 후 취업 준비 중인 사람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6. 경제활동참가율
- 정의: 노동가능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 예시: 만약 노동가능인구가 1,000명이고 경제활동인구가 600명이라면 경제활동참가율은 60%입니다.
용어가 자주 쓰이는 곳
- 정부와 연구기관: 고용률과 실업률 등 노동시장 상태를 분석하는 데 사용합니다.
- 예: 통계청의 월별 고용동향 보고서.
- 경제 및 정책 연구: 경제정책을 설계할 때 근거로 사용됩니다.
- 예: 실업률 증가 시 정부가 일자리 창출 정책을 계획.
- 기업 채용 분석: 노동시장 상황을 고려해 채용 규모를 결정합니다.
- 예: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을 경우, 특정 산업에서 인력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음.
용어 간 관계 이해하기
이제 위 용어들을 간단한 사례로 연결해 보겠습니다:
- 한국의 한 지역에서 만 15세 이상의 노동가능인구가 10,000명이라고 가정합니다.
- 이 중 6,000명이 취업을 했고, 500명이 실업 상태에 있습니다.
- 나머지 3,500명은 공부만 하는 학생이나 전업 가정주부로 비경제활동인구에 속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 노동가능인구: 10,000명
- 경제활동인구: 6,500명 (취업자 6,000명 + 실업자 500명)
- 비경제활동인구: 3,500명
- 경제활동참가율: = 65%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 용어
- 고용률: 노동가능인구 중 실제 취업자의 비율.
-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
- 잠재경제활동인구: 일할 의사가 있으나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
- 고용보조지표: 고용 상태를 보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038 : 경직적 물가지수 (0) | 2025.02.07 |
---|---|
경제금융용어 공부 037 : 경제후생지표(measure of economic welfare) (0) | 2025.02.06 |
경제금융용어 공부 035 :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0) | 2025.02.04 |
경제금융용어 공부 034 : 경제심리지수 (ESI; Economic Sentiment Index) (0) | 2025.02.03 |
경제금융용어 공부 033 : 경제성장률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