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38 : 경직적 물가지수

2025. 2. 7.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경직적 물가지수

 

경직적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가격이 쉽게 변하지 않는 품목들을 대상으로 만든 물가지수입니다. 이를 반대로 쉽게 가격이 변하는 품목들로 만든 물가지수를 신축적 물가지수라고 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통화정책과 관련된 예측에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정부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공서비스(전기, 수도 요금)나 담배 가격, 보육비 및 급식비 같은 개인서비스 요금은 대체로 경직적 물가에 속합니다. 반면, 농산물 가격처럼 계절과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크게 변동하는 품목은 신축적 물가로 분류됩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

  1. 경직적 물가:
    • 한 달에 한 번 전기요금을 납부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전기요금은 매달 조금씩 오를 수 있지만, 하루아침에 갑자기 두 배로 오르거나 반값이 되는 일은 드뭅니다. 이는 정부의 규제나 장기 계약으로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2. 신축적 물가:
    • 시장에서 채소를 구매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여름에 배추 가격이 5,000원이더라도 겨울 김장철에는 15,000원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가격이 빠르게 반응하는 신축적 물가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용어는 어디에서 자주 사용되나요?

  • 통화정책 분석: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거나 통화 공급을 관리할 때, 경직적 물가지수는 미래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 경제 예측: 신축적 물가지수는 단기적인 시장 변화를 반영하고, 경직적 물가지수는 장기적인 경제 트렌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연구 및 정책 보고서: 경제학자나 정책 입안자들이 물가 변화의 구조적 특징을 연구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본문의 용어 정리

  1. 소비자물가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2. 경직적 물가: 가격이 쉽게 변하지 않고, 정부 규제나 계약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품목들의 물가지수입니다. (예: 전기요금, 수도요금)
  3. 신축적 물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빠르게 변동하는 품목들의 물가지수입니다. (예: 농산물, 휘발유 가격)
  4. 통화정책: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거나 화폐 공급량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는 정책입니다.
  5. 근원인플레이션율: 에너지와 식료품처럼 가격 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입니다. 이는 경제의 기초적인 물가 변화를 보여줍니다.

경직적 물가지수를 활용하는 이유

경직적 물가와 신축적 물가는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신축적 물가가 단기적으로 급등하더라도 경직적 물가가 안정적이라면 경제 전체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직적 물가지수는 경제가 장기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