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48 : 기회비용
2025. 5. 28.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기회비용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은 선택으로 인해 포기한 다른 선택지 중 가장 큰 이익을 의미한다. 자원이 희소하기 때문에 우리는 항상 선택을 해야 하며, 이때 포기한 최선의 대안이 주는 가치가 바로 기회비용이다.
기회비용은 눈에 보이는 돈뿐 아니라 시간, 경험, 효율 등 유형·무형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며, 개인,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에게 적용된다.
어디에 자주 쓰이는 용어인가?
- 경제학 기본 교과서: “선택의 대가와 기회비용 개념 설명”
- 기업 경영 전략 보고서: “사업 결정 시 기회비용 분석 필요성”
- 투자 분석 자료: “기회비용을 고려한 자산 배분 전략”
- 시험 문제: “기회비용에 해당하는 선택지를 고르시오”
쉽게 이해하는 예시
예를 들어, 대학생 A가 토요일에 아르바이트(시급 12,000원)를 할지, 친구와 영화(15,000원)를 볼지 고민하고 있다고 하자.
- A가 영화를 선택하면, 아르바이트를 포기해야 하므로 기회비용은 12,000원의 시급 소득이다.
- 반대로 아르바이트를 선택하면, 친구와 보낼 시간과 영화 관람의 즐거움이 기회비용이 된다.
또 다른 예시로, 기업이 보유 자금 1억 원을 신제품 개발에 투자할지, 은행 예금(연 4%)에 넣을지 고민한다면:
- 신제품 개발을 선택할 경우 포기한 예금 이자 400만 원이 기회비용이 된다.
이처럼 기회비용은 비교를 통해 가장 가치 있는 선택지를 포기할 때 발생하는 '보이지 않는 비용'이다.
관련 용어 정리
기회비용 | 어떤 선택을 할 때 포기한 대안 중 가장 큰 이익의 가치 |
희소성 | 자원이 부족해 모든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제적 현실 |
선택 | 여러 대안 중 하나를 고르는 행위, 항상 기회비용을 수반함 |
한계비용 | 재화나 서비스를 한 단위 더 생산할 때 발생하는 추가 비용 |
명시적 비용 | 실제로 지출된 비용 (예: 돈, 급여 등) |
암묵적 비용 | 눈에 보이지 않지만 포기한 기회에서 발생하는 비용 (예: 시간, 포기한 수익 등) |
정리
- 기회비용은 희소한 자원으로 인해 선택을 해야 할 때, 포기한 대안 중 가장 가치 있는 선택지의 이익을 말한다.
- 시간, 돈, 감정적 만족 등 유형·무형의 모든 자원이 대상이 될 수 있다.
- 경제문제의 근본 원인은 자원의 희소성이고, 기회비용은 그 선택의 대가를 측정하는 핵심 개념이다.
- 경제적 사고와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출발점이 되는 기본 개념이다.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149 :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 (1) | 2025.05.29 |
---|---|
경제금융용어 공부 147 : 기팬제 (0) | 2025.05.27 |
경제금융용어 공부 146 : 기타기본자본(AT1; Additional Tier 1) (0) | 2025.05.26 |
경제금융용어 공부 145 : 기축통화 (0) | 2025.05.25 |
경제금융용어 공부 144 : 기초가격(basic price) (0)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