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84 : 국민총소득

2025. 3. 25.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

1. 국민총소득(GNI) 개념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GNI)은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벌어들인 소득의 총합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외국에서 우리 국민(거주자)이 벌어들인 소득이 포함되며, 반대로 국내에서 외국인이 번 소득은 제외된다.

2. 국민총소득과 국내총생산(GDP)의 차이

GNI와 GDP는 서로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다. GDP(국내총생산)는 국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의 총합을 의미하는 반면, GNI는 여기에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더하고, 외국인이 국내에서 번 소득을 빼서 계산한다.

예시를 들어 이해해보자

  •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이 연봉 5천만 원을 받는다면, 이 금액은 한국 GDP에 포함되지만 GNI에서는 제외된다.
  • 반대로, 해외에서 일하는 한국인이 1억 원을 벌어 한국으로 송금한다면, 이 금액은 한국 GNI에 포함된다.

즉, GNI는 ‘국민’ 기준으로 소득을 계산하고, GDP는 ‘국내’ 기준으로 소득을 계산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3. GNI는 어디에서 사용될까?

GNI는 국가의 경제 수준과 국민의 실질적인 소득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국제기구에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을 구분할 때 GNI를 주요 기준으로 삼는다. 예를 들어, 세계은행(World Bank)은 1인당 GNI를 기준으로 저소득국, 중소득국, 고소득국을 구분한다.

4. 용어 정리

  •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한 나라의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 총합.
  •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이 생산활동을 통해 얻은 소득의 총합(GDP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외국에서 우리 국민이 번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에서 국내에서 외국인이 번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을 뺀 값.
  • 부가가치(Value Added):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새롭게 창출된 가치.
  • 세계은행(World Bank): GNI를 기준으로 국가별 경제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기구.

5. 마무리

GNI는 국민이 실제로 벌어들인 소득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GDP와 함께 국가 경제를 분석할 때 자주 사용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