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22 : 결제완결성

2025. 1. 22.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결제완결성

 

결제완결성(settlement finality)은 지급결제시스템에서 이루어진 거래가 어떠한 상황이나 법률적 문제로도 취소되거나 무효화되지 않고, 시스템의 규칙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완료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예시로 이해해보자

어느 날, A은행과 B은행 사이에 돈을 주고받는 거래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A은행은 B은행에 10억 원을 보내기로 했고, 이를 지급결제시스템을 통해 처리합니다.

만약 결제완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은행이 파산: A은행이 돈을 보낸 후 갑자기 파산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B은행은 이미 받은 10억 원을 돌려줘야 할까요?
  • 거래 취소: 만약 누군가가 법적으로 이 거래를 무효화하려 한다면, 이미 완료된 거래가 취소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제완결성이 보장되면, A은행이 파산하거나 법적 문제가 생기더라도 B은행이 받은 10억 원은 취소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혼란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어디에 자주 쓰이는 용어일까?

결제완결성은 주로 금융시스템지급결제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이 용어는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중요합니다:

  1. 중앙은행 운영 시스템: 중앙은행이 관리하는 대규모 자금 이체 시스템 (예: 한국은행의 한은금융망)
  2. 증권 결제 시스템: 주식, 채권 등 증권 거래의 결제
  3. 파산 및 법적 분쟁: 금융기관이 파산했을 때, 이미 완료된 거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

이해를 돕기 위한 추가 용어 정리

1. 지급결제시스템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 정의: 금융기관 간 자금 또는 증권을 주고받는 시스템.
  • : 한은금융망, 전자지급결제대행(PG) 시스템 등.

2. 청산 (Clearing)

  • 정의: 거래 후에 누가 누구에게 얼마나 지급해야 할지 계산하는 과정.
  • : 주식 거래 후 매수자와 매도자의 금액 계산.

3. 결제 (Settlement)

  • 정의: 청산된 금액을 실제로 주고받는 과정.
  • : A은행이 B은행에 돈을 실제로 송금하는 단계.

4. PFMI (Principles for Financial Market Infrastructures)

  • 정의: 금융시장 인프라에 관한 국제 기준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금융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제정된 원칙.
  • 의미: 결제완결성 원칙도 여기에 포함되어 각국 금융당국이 이를 준수하도록 함.

5. 채무자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 정의: 파산 절차에서 지급결제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결제완결성을 보장하는 한국의 법률.
  • 의미: 이 법에 따라 한국은행 총재가 결제완결성을 보장하는 시스템을 지정.

결론: 왜 중요한가?

결제완결성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만약 결제완결성이 없다면, 금융기관의 파산이나 법적 분쟁으로 인해 이미 완료된 거래가 무효화되어 금융 시장에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은행과 금융당국은 이를 철저히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은 '한번 완료된 거래는 취소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금융시장과 시스템이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