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64 : 단위노동비용
2025. 6. 13.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단위노동비용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이란 산출물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노동비용을 의미한다. 노동비용에는 일반적으로 임금이 포함된다. 이는 상품의 가격경쟁력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왜 중요한가?
- 국제무역에서 한 상품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가격이 낮거나 품질이 높아야 한다.
- 단위노동비용이 높으면 생산비가 높아지고, 이는 가격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반대로 단위노동비용이 낮으면 같은 가격에 더 많은 이익을 남기거나 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 가능하다.
계산식 및 해석
단위노동비용 = 노동비용 ÷ 총산출량
또는
단위노동비용 = (시간당 노동비용 × 총노동시간) ÷ 총산출량
= 시간당 노동비용 ÷ 노동생산성
즉, 단위노동비용은 임금 수준(시간당 노동비용)과 노동생산성 간의 관계로도 해석할 수 있다.
- 시간당 노동비용이 상승하거나 노동생산성이 악화되면 → 단위노동비용 증가
- 임금이 안정되고 노동생산성이 개선되면 → 단위노동비용 감소
예시로 이해하기
어떤 기업이 시간당 2만 원의 임금을 지급하며 노동자 1인당 시간당 4개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하자.
- 단위노동비용 = 2만 원 ÷ 4개 = 5천 원/제품 1개당
하지만 노동생산성이 올라서 시간당 5개를 생산한다면?
- 단위노동비용 = 2만 원 ÷ 5개 = 4천 원/제품 1개당
노동생산성이 개선되면 단위노동비용은 줄어들어 기업 경쟁력이 상승한다.
정리
- 단위노동비용은 노동비용 대비 생산량을 나타내는 효율성 지표다.
- 임금 수준과 노동생산성의 변화는 단위노동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을 평가할 때 단위노동비용은 핵심적인 기준이 된다.
관련 용어
- 노동생산성: 일정 시간 동안 한 명의 노동자가 생산한 산출량
- 총산출: 특정 기간 동안 기업이나 국가가 생산한 전체 산출량
- 시간당 노동비용: 노동자 1인에게 시간당 지급되는 임금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166 : 담보인정비율(LTV) (1) | 2025.06.15 |
---|---|
경제금융용어 공부 165 : 단일금리방식/복수금리방식 (2) | 2025.06.14 |
경제금융용어 공부 163 : 단리/복리 (1) | 2025.06.12 |
경제금융용어 공부 162 :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 (3) | 2025.06.11 |
경제금융용어 공부 161 : 녹색기후기금(GCF) (2) | 202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