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10 :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IRS)

2025. 4. 20. 21:00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IRS)

 

금리스왑(Interest Rate Swap, IRS)이란 거래당사자 간에 원금 교환 없이, 정기적으로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서로 교환하는 파생상품 계약이다.

이 상품은 주로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을 줄이거나(헤지), 향후 금리 방향에 베팅하는(투기) 목적으로 사용된다.


금리스왑의 기본 구조

금리스왑은 아래 두 가지 방향으로 거래된다.

거래유형설명

Pay 거래 고정금리를 지급하고 변동금리를 수취
Receive 거래 변동금리를 지급하고 고정금리를 수취

예를 들어, 3개월마다 변동금리(CD 91일물)와 고정금리(IRS 금리)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계약이 체결된다.


거래 규모와 활용 사례

  • 거래단위: 보통 100억 원 단위로 거래됨
  • 만기: 1년에서 5년 사이가 일반적

예시: 헤지 목적의 Pay 거래

어떤 보험사가 고정금리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데, 변동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면 금리가 오르면 손실 위험이 생긴다. 이를 막기 위해 고정금리를 지급하고 변동금리를 받는 Pay 거래를 하면, 자산과 부채의 금리구조를 맞춰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금리스왑의 두 가지 활용

1. 헤지(Hedge)

  • 자산과 부채의 금리 구조가 서로 다를 때 생기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용됨
  • 금리 상승이나 하락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2. 투기(Speculation)

  • 금리 방향을 예측해 수익을 추구하는 거래
  • 예:
    • 금리 하락 예상 → Receive 거래(고정 수취)
    • 금리 상승 예상 → Pay 거래(고정 지급)

금리스왑 스프레드란?

금리스왑 스프레드(Swap Spread)는 동일 만기의 IRS 금리와 국고채 금리(무위험 금리)의 차이를 말한다.

예시 설명
스프레드 확대 시장금리가 상승하거나, 신용위험이 커질 때 발생
스프레드 축소 금리 하락 기대, 고정금리 수취 수요 증가 시 발생

예를 들어, 시장에서 향후 금리 하락을 예상하면 고정금리 수취 거래가 늘어나 IRS 금리가 하락하고, 스프레드도 줄어든다.


자주 등장하는 관련 용어 정리

용어 의미
금리스왑(IRS)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를 교환하는 금리 파생상품
Pay 거래 고정금리를 지급하고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 거래
Receive 거래 변동금리를 지급하고 고정금리를 수취하는 금리스왑 거래
CD 91일물 금리 대표적인 단기 변동금리 지표 (증권사 발행 양도성예금증서의 91일물 금리)
듀레이션 자산이나 부채의 평균 만기. 금리 민감도를 나타냄
금리스왑 스프레드 IRS 금리와 동일 만기 국고채 금리 간 차이

마무리하며

금리스왑은 채권을 직접 사고파는 것이 아니라 금리를 교환함으로써 리스크를 조절하는 도구이다. 기업, 금융기관, 기관투자자들이 금리 리스크를 관리하거나, 시장 예측에 따라 수익을 노릴 때 활용한다.

특히 금리 변동성이 클수록 금리스왑의 중요성은 더 커지며, 금융시장의 흐름을 읽는 하나의 '센서' 역할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