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081 : 국민소득
2025. 3. 22.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국민소득
국민소득(NI; National Income)이란 한 나라의 경제주체들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화폐 단위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흔히 국민총소득(GNI)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국민소득은 요소비용에 의한 국민소득을 의미하며, 한 나라의 국민이 제공한 생산요소(노동, 자본, 경영)에서 발생한 소득의 총액을 나타낸다.
국민소득의 계산 방법
국민소득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1. 국민소득 공식
- 국민소득(NI) = 국민총소득(GNI) - 감가상각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국민소득(NI) = 국민순소득(NNI) - 생산 및 수입세 + 보조금
- 국민소득(NI) = 국민순소득(NNI) - 순생산 및 수입세
- 국민소득(NI) = 피용자보수 + 영업잉여
- 국민소득(NI) = 임금 + 지대 + 이자 + 이윤
쉽게 이해하는 국민소득
예를 들어 한 나라에 A기업과 B기업, 그리고 근로자 C가 있다고 가정하자.
- A기업과 B기업이 1년 동안 총 1,000억 원어치의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했다.
- 하지만 기계나 설비 등의 감가상각 비용이 200억 원 발생했다.
- 또한, 기업이 납부해야 하는 생산 및 수입세가 100억 원이다.
- 정부가 기업과 가계에 지원하는 보조금이 50억 원이다.
- 근로자 C가 받는 급여는 300억 원이며, 기업의 영업잉여(이윤)는 400억 원이다.
이를 국민소득 계산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국민소득(NI) = 1,000억 원 - 200억 원 - 100억 원 + 50억 원 = 750억 원
즉, 이 나라의 국민소득은 750억 원이 된다.
국민소득이 자주 사용되는 곳
국민소득은 경제 정책을 결정하거나 국가 경제 수준을 평가할 때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 경제 성장률 분석: 이전 연도의 국민소득과 비교하여 성장률을 계산할 수 있다.
- 복지 정책 결정: 국민소득이 낮으면 정부가 복지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국제 비교: 다른 국가와 비교하여 경제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 기업 및 금융 시장 분석: 국민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활발해지고 기업의 수익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국민소득을 이해하기 위한 주요 용어 정리
-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한 나라의 국민이 생산한 총소득.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도 포함된다.
- 국민순소득(NNI; Net National Income): GNI에서 감가상각을 제외한 소득.
- 감가상각(Depreciation): 기계, 건물 등의 자산이 시간이 지나면서 가치가 줄어드는 것.
- 생산 및 수입세(Production and Import Taxes): 제품 생산이나 수입 시 부과되는 세금.
- 보조금(Subsidies): 정부가 기업이나 가계에 지원하는 금액.
- 피용자보수(Compensation of Employees): 근로자가 받는 임금, 상여금 등.
- 영업잉여(Operating Surplus): 기업이 벌어들이는 순이익.
- 임금(Wages): 노동의 대가로 받는 보수.
- 지대(Rent): 토지 사용에 대한 대가.
- 이자(Interest): 자본 제공에 대한 대가.
- 이윤(Profit): 기업이 벌어들이는 최종 이익.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083 : 국민처분가능소득(NDI; National Disposable Income) (0) | 2025.03.24 |
---|---|
경제금융용어 공부 082 :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0) | 2025.03.23 |
경제금융용어 공부 080 : 국민부담률 (0) | 2025.03.21 |
경제금융용어 공부 079 : 국민대차대조표(National Balance Sheet) (1) | 2025.03.20 |
경제금융용어 공부 078 : 국민계정체계(SNA; System of National Accounts)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