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채용 탐구 5 : Google Korea - Partner Engineer, YouTube Shopping

2025. 4. 1. 06:33코딩 도구/직무분석

반응형

최근 외국계 기업들의 채용 방식이 궁금해져서 하나씩 살펴보기로 했다. 그 첫 번째로 선택한 곳은 구글 코리아. 가장 잘 알려진 기업이니만큼 어떤 포지션을 뽑고, 어떤 사람을 원하는지부터 천천히 뜯어보려고 했다. 그러던 중에 우연히 "Partner Engineer, YouTube Shopping"이라는 직무를 발견했다. 백엔드나 AI처럼 일반적인 개발자가 아니라 파트너 엔지니어? 처음 듣는 이름이었고, 신입도 경력도 모두 가능하다는 말에 "이건 무슨 역할이지?" 하는 궁금증이 들어 하나하나 분석해 보기로 했다.


1. 채용 공고 개요

  • 지원 자격: 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공학 또는 관련 분야 학사 이상 (또는 실무 경험)
  • 경력: 신입/경력 무관
  • 모집 부문: Partner Engineer, YouTube Shopping
  • 근무 지역: 서울 강남구
  • 고용 형태: 기업 문의
  • 연봉: 회사 내규에 따름
  • 접수 마감: 채용 시 마감

2. 합류하게 될 팀 소개

Google Korea에서 YouTube Shopping의 성장을 기술적으로 리드하는 팀으로, 국내 이커머스 파트너(마켓플레이스, 쇼핑 플랫폼 등)와의 협업을 통해 유튜브 생태계에 쇼핑 기능을 통합하고 Live Shopping 시장 확장을 도모하는 조직이다.


3. 담당 업무

  • YouTube Shopping, Google Commerce, E-Commerce Analytics의 기술적 이해 확보
  • 이커머스 파트너와 협력하여 기술 통합 경로 설계 및 운영 프레임워크 구축
  • 파트너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 로드맵 제안 및 반영
  • 기술 문서 작성 및 파트너 지원 제공
  • 엔지니어링, 제품, 비즈니스 팀과의 협업

4. 지원 자격

최소 자격

  • 컴퓨터공학 등 관련 전공 학사 학위 또는 동등한 실무 경험
  • 웹 기술 경험 (HTML, CSS, JavaScript, HTTP 등)
  • Java, C/C++, Python 등 언어로 개발 경험
  • 고객 또는 파트너를 대상으로 한 기술적 문제 해결 경험

우대 조건

  • 관련 분야 석사 학위
  • BI, 통계, 데이터 분석 도메인 경험
  • SQL/NoSQL 기반 데이터베이스 경험
  • 시스템 운영 경험 (Linux, Unix, Windows)
  • 쇼핑, 결제, 재고 등 이커머스 도메인 경험

5. 사용 기술 스택

  • Frontend: HTML, CSS, JavaScript
  • Backend: Java, Python, C/C++ (기술적 이해 수준)
  • System & DB: SQL, NoSQL, Linux/Unix/Windows
  • Etc.: HTTP 기반 통신 기술, E-Commerce/Analytics 관련 스택

6. 이 직무는 프론트엔드? 백엔드?

둘 다 아니다. Partner Engineer는 코드를 작성하는 전통적 개발자라기보단, 기술과 비즈니스 사이를 잇는 Technical Consultant/Partner Solutions Engineer 성격의 역할이다. 개발 역량을 갖춘 채로 파트너 기술 지원과 내부 협업을 주도하는 역할이다.


7. 채용 프로세스

  1. 서류 접수
  2. 인터뷰 전형 (기술 인터뷰 포함)
  3. 최종 합격

※ 구체적인 전형일정은 Google Careers 페이지 확인

https://www.google.com/about/careers/applications/


8. 포트폴리오 및 준비 전략

  • 웹/클라이언트 기술 프로젝트 정리 (GitHub)
  • 기술 블로그 운영: 기술 문서화 및 통합 사례 기록
  • API 연동, 파트너 연동 경험 중심 포트폴리오
  • 오픈소스 기여 또는 협업 프로젝트 이력
  • 유튜브 생태계와 이커머스 산업 구조에 대한 이해 기반 정리

9. 기업 분석 및 지원 전략

Google은 기술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동시 요구하는 포지션을 많이 보유한 기업이다. Partner Engineer는 개발자에서 커뮤니케이션과 전략으로 확장해나갈 사람에게 매력적인 커리어 출발점이 된다.

단순히 코드를 잘 짜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비즈니스와 연결해 성과를 내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이 직무는 이후 Technical Program Manager, Solution Architect, Product Manager 등 다양한 경로로 확장 가능하다.


10. 마무리하며

개발과 커뮤니케이션에서 모두 장점이 있는 나라면 한 번쯤 고민해볼 만한 포지션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Google 안에서 다른 직무로 전환이 용이할 수도 있겠다는 기대도 살짝 들지만, 동시에 개발자로 첫 취업을 하고 싶다는 내 마음에 이 직무가 괜찮을까 하는 불안도 있었다. 혹시 이걸 선택하면 내 개발 커리어가 흐려지는 건 아닐까? 그래도 지금은 그냥 찾아보고 분석해봤다는 데에 의의를 두기로 했다. 지금 하는 작은 탐색들이 언젠가 내 진짜 방향을 찾아줄 거라 믿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