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채용 탐구 1 : 토스 Infra Engineering팀 집중채용 [5년 미만]

2025. 2. 26. 13:40코딩 도구/직무분석

반응형

토스 Infra Engineering팀 집중채용 [5년 미만]

https://toss.im/career/job-detail?job_id=6046801003&utm_source=zighang&utm_medium=referral&detailedPosition=InfraOps%20Engineer

 

토스 채용

공고 자세히 보기

toss.im

1. 채용 공고 개요

  • 채용 시 마감
  • 게시일: 2025년 2월 25일
  • 경력: 신입 ~ 4년차
  • 직군: 데브옵스/인프라, 백엔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학력: 학력 무관
  • 근무 형태: 정규직
  • 근무 지역: 서울

2. 합류하게 될 팀 소개

입사 후에는 Infra Engineering 트라이브Infra Ops 팀에서 InfraOps Engineer로 근무한다. 이 팀은 토스의 인프라팀(System Engineer, Network Engineer)과 협업하여 '토스 Beaver(인프라 통합 운영 시스템)'을 개발하는 역할을 한다.

토스 Beaver를 통해 여러 서비스가 데이터센터 및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새로운 인프라 기술을 시도하고 시스템화하는 과정도 진행한다.


3. 담당 업무

  • Toss Beaver(Infra Platform Service) 개발
  • 운영 업무 자동화를 통해 휴먼 오류를 최소화하고 업무 효율을 높임
  • 운영 업무를 시스템화하여 누구나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 구축
  • 통합 운영 시스템 개발을 통해 엔지니어 간 협업을 개선하고 자동화 가능한 업무를 내재화
  • 아키텍처 설계 및 개선을 통해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

4. 지원 자격

필수 조건

  • REST API 개발 및 활용 경험
  •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서비스 개발 경험
  • 개발 실무 경력 5년 미만
  • 해외여행 결격 사유가 없는 자

우대 조건

  • 풀스택(Frontend, Backend) 개발 경험 또는 희망자
  • 업무 자동화 개발 경험
  • 기술 트렌드를 학습하고 이를 시스템에 적용한 경험

5. 사용 기술 스택

  • Backend: Kotlin/Java, Spring Framework, Python
  • Frontend: React, TypeScript
  • DB: MySQL, Redis

6. 채용 프로세스

  1. 서류 접수
  2. 사전 과제
  3. 직무 인터뷰
  4. 문화 적합성 인터뷰
  5. 레퍼런스 체크
  6. 처우 협의
  7. 최종 합격 및 입사

7. 포트폴리오 및 준비 전략

이 직무를 지원하기 위해 준비할 수 있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REST API 개발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젝트
    • GitHub에 API 개발 관련 프로젝트 정리
    • RESTful API 설계 문서화 및 활용 사례 정리
  2. 운영 자동화 경험
    • 업무 자동화 경험이 있다면 관련 프로젝트나 블로그 포스트 정리
    • CI/CD, IaC(Terraform, Ansible) 사용 경험 강조
  3. Infra 및 DevOps 관련 경험
    • Kubernetes, Docker 활용 경험 정리
    • AWS, GCP 등의 클라우드 운영 경험 포함
  4. 기술 트렌드 적용 사례
    • 블로그나 GitHub에 최신 기술 적용한 프로젝트 정리
    • 토스에서 사용 중인 Kotlin, Spring, React 등을 활용한 개인 프로젝트 개발

8. 기업 분석 및 지원 전략

토스는 국내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으로, 빠른 의사결정과 기술 중심의 개발 문화를 가지고 있다. Infra Ops 팀에서는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를 중점적으로 다루므로, SRE, DevOps, 클라우드 인프라 관련 경험이 있는 지원자에게 유리할 가능성이 크다.

이 직무에 관심 있는 지원자는 포트폴리오와 경험을 기반으로 시스템 운영 및 자동화 역량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GitHub, 블로그, 프로젝트 정리를 통해 본인의 경험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채용 과정에서 유리할 것이다.


9. 마무리

토스 Infra Engineering 팀은 대규모 시스템을 운영하면서도 자동화와 효율성을 강조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Infra 및 DevOps에 관심 있는 신입 및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지원 시 이력서는 물론이고 포트폴리오 선택사항이 있는데 이때 당당하고 자랑스럽게 제출할 나의 링크를 하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 사전 과제에 대해서 매우 궁금해졌는데 1년동안 공부를 하고 내년 부터는 복학 전까지 가능하다면 지원 후 사전과제를 해보는 경험을 할 것이다.  

이 모집에 경우에는 실제 Infra Ops 업무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가 나올 것 같은데 DevOps, 인프라 자동화 관련 경험을 좀 쌓을 필요를 느꼈고 REST API 개발, 운영 자동화 경험을 꾸준히 하고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토스가 사용하는 기술 스택(Kotlin, Java, Spring, React, Python 등) 중 하나를 숙련해 두기
REST API 설계 및 구현 연습 (Swagger 문서화, JWT 인증, CRUD 기능 등)
AWS, Kubernetes, Docker 환경에서 운영 자동화 스크립트 개발 연습

Terraform, Ansible 등 IaC(코드 기반 인프라 관리) 도구 학습
SRE(사이트 안정성 엔지니어링) 및 DevOps 개념 익히기 (CI/CD 파이프라인, 로깅 및 모니터링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