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Boot DevTools로 HTML 파일 수정 시 서버 재시작 없이 반영하기

2025. 2. 5. 06:41코딩 도구/백엔드 개발 (Backend Development)

반응형

Spring Boot DevTools로 HTML 파일 수정 시 서버 재시작 없이 반영하기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서버를 재시작하지 않고도 HTML 파일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ntelliJ 환경에서 이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spring-boot-devtools 추가하기

먼저 build.gradle 파일에 spring-boot-devtools 의존성을 추가합니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이 라이브러리는 개발 단계에서만 사용되므로, production 환경에서는 자동으로 제외됩니다.


2. IntelliJ 설정 변경하기

IntelliJ에서 HTML 파일 변경 시 바로 반영되도록 설정을 변경합니다.

  1. File > Settings (Windows) / IntelliJ IDEA > Preferences (Mac) 이동
  2. Build, Execution, Deployment > Compiler 메뉴로 이동
  3. "Build project automatically" 체크
  4. Advanced Settings (고급 설정)에서
    • "Allow auto-make to start even if developed application is running" 체크

이렇게 설정하면 HTML 파일을 수정 후, 자동으로 빌드되어 반영됩니다.


3. Thymeleaf 캐시 비활성화

Thymeleaf를 사용하는 경우, 캐시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수정사항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pplication.yml에 아래 설정을 추가하세요.

spring:
  thymeleaf:
    cache: false

이렇게 하면 템플릿 엔진이 변경사항을 바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4. HTML 파일 수정 후 반영 방법

만약 파일을 수정하고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아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uild > Recompile '파일명' 클릭
  • 단축키: Ctrl + Shift + F9 (Windows) / Cmd + Shift + F9 (Mac)

또는 HTML 파일을 저장 후 브라우저를 새로고침하면 바로 반영됩니다.


5. spring-boot-devtools로 생산성 향상하기

spring-boot-devtools는 단순히 HTML 반영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기능도 제공합니다:

  • 자동 재시작: 코드 변경 시 서버를 자동으로 재시작합니다.
  • 라이브 릴로드: HTML/CSS/JS 파일 변경 시 자동 새로고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