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용어 공부 177 : 대출채권 분할매각
2025. 6. 26.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반응형
대출채권 분할매각
대출채권 분할매각은 금융기관이 보유한 대출채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3자에게 매각하는 방식으로 대출채권을 유동화하는 방법 중 하나다. 이때 금융기관은 차주(돈을 빌린 사람)와의 계약 관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3자(참가자)에게 원리금 수취권만 넘긴다.
구조는 어떻게 되나?
- A금융기관이 B기업에게 100억 원을 대출함
- 이 채권을 C투자자에게 40억 원 분량만큼 매각함
- A금융기관은 여전히 B기업의 공식 채권자로 남아 있고, B기업은 대출을 갚을 때 A금융기관에 상환함
- C투자자는 A금융기관을 통해 원리금의 40%를 배분받게 됨
즉, 참가자는 원리금 수취권은 갖지만, 채권 자체를 직접 행사할 수는 없는 구조다. 금융기관이 회수한 돈만큼 참가자에게 분배되기 때문에, 참가자가 실질적인 리스크를 부담하게 된다
어떤 장점이 있나?
- 금융기관은 대출채권을 분할해 유동성 확보 가능
- 계약상 채권자는 여전히 금융기관이기 때문에, 차주에게 매각 사실을 알리지 않아도 된다
- 제3자는 기존 금융기관의 채권관리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위험 요소는 없을까?
- 참가자는 차주가 대출금을 제대로 상환하지 못하면 원리금을 회수하지 못할 수 있다
- 금융기관이 직접 채권자이기 때문에, 참가자의 의사 반영이 제한된다
이처럼 금융기관은 위험을 외부로 이전하고, 참가자는 수익과 리스크를 동시에 감수하게 되는 구조다
용어 정리
대출채권 | 금융기관이 차주에게 돈을 빌려주고 받을 권리 |
유동화 | 자산을 현금화하거나 거래 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절차 |
참가자 | 대출채권 일부를 매입한 투자자 |
원리금 수취권 | 대출 원금과 이자를 받을 권리 |
정리
- 대출채권 분할매각은 금융기관이 채권자의 지위를 유지한 채 대출채권 일부를 타인에게 넘기는 방식이다
- 참가자는 원리금을 받을 수 있지만, 대출 상환 여부에 따른 위험도 함께 떠안는다
- 차주에게 매각 사실을 알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계약 구조가 간단하고 실무상 활용도가 높다
반응형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179 : 도덕적 해이 (1) | 2025.06.28 |
---|---|
경제금융용어 공부 178 : 더블딥 (0) | 2025.06.27 |
경제금융용어 공부 176 : 대출금 출자전환 (0) | 2025.06.25 |
경제금융용어 공부 175 : 대체제 (1) | 2025.06.24 |
경제금융용어 공부 174 : 대체비용리스크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