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7. 21:00ㆍ지식 도구/경제금융용어
국제투자대조표(IIP)
국제투자대조표(IIP;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는 일정 시점에서 한 나라의 거주자가 외국(비거주자)에 대해 보유한 금융자산(대외투자)과 외국인이 그 나라에 보유한 금융부채(외국인 투자)의 잔액을 기록한 통계표이다.
쉽게 말해, 특정 시점에 “우리가 외국에 얼마나 투자했는지”, “외국인이 우리나라에 얼마나 투자했는지”를 보여주는 국가의 금융 잔액 대차표라고 할 수 있다.
국제수지 vs 국제투자대조표
- 국제수지(BOP)는 일정 기간 동안의 거래 흐름(Flow)을 나타낸다. 예: 1년간 외국에 투자한 금액
- 국제투자대조표(IIP)는 특정 시점의 잔액(Stock)을 보여준다. 예: 2024년 말 기준 해외에 보유한 자산 총액
즉, 국제수지의 금융계정이 거래의 흐름이라면, IIP는 그 누적 결과를 잔액 기준으로 정리한 것이다.
IIP의 구성 항목
IIP는 국제수지의 금융계정과 같은 다섯 가지 범위로 구성된다.
- 직접투자 (지분)
- 외국 기업에 일정 지분 이상을 투자해 경영에 참여하는 방식
- 증권투자 (주식, 채권)
- 외국의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방식
- 파생금융상품
- 선물, 옵션, 스왑 등과 같은 금융 파생상품
- 기타투자
- 대출, 예금, 무역신용 등 일반적인 금융거래
- 준비자산
-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 금, SDR 등
IIP의 잔액과 금융계정 누계의 차이
IIP는 거래 외에도 자산가치 평가 변경이 반영되기 때문에 금융계정 누계액과 다를 수 있다.
예:
- 한국 기업이 외국에 1억 달러 투자했는데, 해당 기업 주가가 상승해 자산 가치가 1.2억 달러가 된 경우 → IIP에는 1.2억 달러로 기록된다.
이처럼 환율 변화, 주가 변동, 평가 손익 등이 반영된 수치가 바로 IIP이다.
대외채권·채무 통계와의 관계
IIP에서 다음 항목들을 제외하면, 대외채권·채무 통계와 동일한 범위를 갖는다.
- 지분성 자산: 직접투자 중 지분, 증권투자 중 주식, 기타지분
- 파생금융상품
즉, 순수한 '채권·채무'만 보고 싶을 경우에는 IIP에서 위 항목들을 빼고 해석하면 된다.
누가 만들고 어디에 활용되는가?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매 분기 IIP를 작성하여 공표한다.
활용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외건전성 평가: 외국에 대한 자산과 부채의 구조를 점검함
- 국제신용등급 평가 자료: 외국에서 한국의 재정 건전성을 평가할 때 참고함
- 외환정책 수립: 외환보유액, 외채 구조 등을 분석해 정책 방향을 결정함
- 글로벌 금융위험 모니터링: 국제 금융시장과의 연결성을 점검
자주 등장하는 관련 용어 정리
국제투자대조표(IIP) | 일정 시점에서 대외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잔액을 정리한 통계 |
금융계정 | 국제수지의 항목 중 하나로, 대외투자와 외국인 투자 등 자본의 흐름을 나타냄 |
직접투자 | 기업의 경영권 참여를 목적으로 외국에 자본을 투자하는 행위 |
증권투자 | 주식이나 채권 등 유가증권을 통한 투자 |
파생금융상품 | 옵션, 선물, 스왑 등 금융 파생계약을 통한 거래 |
대외채권·채무 통계 | 지분성 자산과 파생상품을 제외한 순수한 채권 및 부채 통계 |
준비자산 |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 금, SDR 등 국제결제에 사용 가능한 자산 |
마무리하며
국제투자대조표는 한 나라의 대외 금융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표이다. 국제수지가 '돈의 흐름'이라면, IIP는 '돈의 쌓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우리나라가 외국에 얼마나 투자하고 있는지, 외국 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 외환위기에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지식 도구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공부 099 : 국채 (0) | 2025.04.09 |
---|---|
경제금융용어 공부 098 : 국제회계기준(IFRS) (1) | 2025.04.08 |
경제금융용어 공부 096 : 국제통화기금(IMF) (1) | 2025.04.06 |
경제금융용어 공부 095 : 국제원유가격 (1) | 2025.04.05 |
경제금융용어 공부 094 : 국제수지표 (1) | 2025.04.04 |